Load

Load

Main

생활은 편리하게, 환경은 아름답게

용인 에버라인

Yongin Everline

안전시스템 소개
신호시스템1
신호시스템2
신호시스템3
신호시스템4
신호장비실 시설 구성
  • 1. CCC(중앙제어컴퓨터시스템) Central Control Computer System
  •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 감시, 표출 및 제어 기능.
    ATS(자동열차감시)에는 시스템 스케쥴링과 결집방지(Antibunching)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차량, 관제제어 및 역사/지역 장비와 연계되는 ATS기능은 진단, 경보와 중앙 데이터 로깅 및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 2. ATP(자동열차보호) Automatic Train Protection
  • 열차와 승객의 안전을 보정하는 Vital 열차 제어 기능으로, 지상 ATC 및 차량 ATC 시스템에 의하여 실시된다.
    차량 속도 제한 결정, 열차 위치 판단/추적, 과속 보호, 연동 노선 및 기능 제어 기능이 있다.
  • 3. ATO(자동열차운전) Automatic Train Operation
  • 지상 ATC 및 차량 ATC 시스템에 의하여 실시되는 Non-vital 열차 제어 기능이다.
    차량 출입문 제어, 역사/차량 안내방송 및 그래픽 활성화, 모든 열차에 대한 감시/감독 기능이 있다.
  • 4. BDR(광 중계기) Base Data Radio
  • 차량 ATC시스템과 지상 ATC 시스템 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열차 대 지상 통신 시스템의 지상 구성품이다.
  • 5. SLCC(분기기 논리 제어) Switch Logic Control
  • 지상 ATC 시스템과 선로전환기와 관련하는 여러 개의 구성품 사이의 제어 및 전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캐비닛이다.
    캐비닛 내의 회로는 해당 가이드웨이 선로전환기를 통과하는 열차의 안전을 보증한다.
  • 6. TRS(열차등록시스템) Train Registry System
  • 주요 시스템 결함 발생 시 모든 열차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지역 경계부 확인지점을 통하여 열차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지역 ATP 시스템의 초기 가동 시간을 최소화한다.
선로 전환기 (Switch Machine JEA72 & JEA952/953)
  • 1. 차량기지 레일 앤드 선로전환기(JEA72)
  • 자동 차량기지 구역에 있는 선로 전환기는 RATC에 의해 제어된다.
    수동 구역에서 선로전환기는 푸시버튼 분기기 제어 패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 된다.
    선로 전환기에는 모터가 있어 선로 분기기를 직선(tangent) 또는 분기부(turn-out)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모터는 스위치 수동 제어 캐비넷에 있는 스위치를 통해 작동 된다. 각 선로 전환기는 자동온도조절장치로 제어되는 열 요소를 포함한다.
  • 2. 본선 레일 앤드 선로전환기(JEA952)
  • 각 본선 레일 엔드 선로 전환기에는 관련 본선 프로그(frog) 선로 전환기가 있다.
    단일 본선 레일 엔드 선로 전환기는 함께 작동되어 궤도 선로를 제어하고, 따라서 분기기를 통해 열차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JEA952는 분리된 모터 제어 및 감지 회로가 있는 모든 종류의 연동장치와 인터페이스 될 수 있다.
    외부 어댑터를 사용해서 네 개의 전선 시스템(통합 회로)을 인터페이스 하는 것도 가능하다.
  • 3. 본선 가동 프로그 선로전환기 (JEA953)
  • JEA953는 모듈에 의한, 침목-통합 선로 전환기이다. 본선 스위치와 연관된 가동 프로그를 제어하고 작동 시킨다.
    그리고 이 전환기의 움직임은 이에 상응하는 전환기의 움직임과 동시에 나타난다.
    가동 프로그 선로 전환기시스템에는 모터 드라이브 유닛, 송신 샤프트, 리니어 드라이브 유닛, 탐지 및 잠금 유닛이 포함된다.
    프로그 선로 전환기는 침목의 중심부에 위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잠금 유닛 에 의해 쇼트 연결 로드를 통해 잠기고 작동 된다.
기준점 표시기 (Norming Point)
기준점 표시기(NP)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비이다.
가이드웨이를 따라 위치하며 차량이 궤도를 따라 운행되는 동안, 차량에 부착된 NP 판독기는 차량이 통과하는 각 NP를 검지하고, 차량 ATC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위치를 업데이트 한다.
  • 1. 열차 위치 확인
  • 2. 열차 위치 오류 정상화
인덕티브 루프 검지함 및 접속함 (Inductive Loop Detection & Junction Box)
지역간을 통과하는 차량을 추적하기 위해 열차 등록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스위치 이동 (트랩 스위치) 승인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차량이 어떤 루프를 넘어서 궤도를 점유하게 되면, 해당 계전기의 전원은 차단된다.
계전기들의 전원 차단 및 재가압 순서는 차량이 운행 중인 방향을 표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차량이 어느 구역으로 진입하고 어느 구역을 출발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태그 리더기 (Tag Reader)
태그 리더기는, 궤도를 따라 이미 규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무선주파수(RF) 에너지를 사용하여 차량 ID 태그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판독기를 통과한 모든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승강장 안전문(Platform Screen Door)
경전철 역사 승강장 위에 선로와 격리되는 고정벽(스크린)과 가동문을 설치해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승강장 안전 지원 시스템
승강장 안전문(PSD)는 다음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1. 구동박스
  • 2. 승객안내표시기
  • 3. 개폐표시등
  • 4. 장애물검지센서
  • 5. 가동도어
  • 6. 비상도어
광 중계기 (EOCell)
광 중계기는 가이드웨이에 위치하며, 마스터 EOCell의 광섬유 신호를 무선 주파수 (RF)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원격 EOCell 은 최대 4 섹션의 Radiax 케이블에 연결된다. Radiax 케이블은 지상 RF 안테나의 역할을 하고 RF 신호를 차량 Radiax 안테나에 연결시킨다.
원격 EOCell은 벽 장착형 유닛으로 광(Fiber)을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를 접수하고 이 데이터를 RF 출력으로 변환시킨다. RF 출력은 지상 ATC 시스템과 차량 ATC 시스템 간의 안정적인 통신을 촉진시키기 위해 지상을 따라 Radiax 안테나 케이블에 사용된다.
방사형 동축 케이블 (Radiax Cable)
방사형 동축 케이블은 RATC 장비를 VATC 장비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지상 안테나이다.
방사형 동축 케이블은 가이드웨이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가이드웨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통신시스템1
통신시스템2
전화 시스템 (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 차량기지
  • 1. 교환기 1식
  • 2. 녹음장치 1식
  • 3. PABX 1식
  • 역사
  • 1. 비상전화 82개
  • 2. 수화기형 전화 144개
  • 3. 일반전화 (아날로그 방식) 95개
  • 4. 일반전화 (디지털 방식) 90개
폐쇄회로 시스템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 차량기지
  • 1. OCC 모니터용 PC 1식
  • 2. 중앙 영상 절체 장치 1식
  • 3.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1식
  • 4. 비디오 전송장치 1식
  • 5. 고정 카메라 6식
  • 6. PTZ 카메라 6식
  • 역사
  • 1. 비디오 전송장치 15식
  • 2. 역사 영상 절체 장치 15식
  • 3.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15식
  • 4. 고정 카메라 257식
  • 5. PTZ 카메라 62식
안내방송 (PA, Public Address)
  • 차량기지
  • 1. 방송 설비 1식
  • 2. 원격방송장치 1식
  • 3. 5W 천정형 스피커 125식
  • 4. 5W 벽면형 스피커 2식
  • 5. 5W 컬럼형 스피커 49식
  • 6. 10W 컬럼형 스피커 37식
  • 7. 30W 혼합형 스피커 4식
  • 역사
  • 1. 방송 설비 15식
  • 2. 원격방송장치 15식
  • 3. 5W 천정형 스피커 324식
  • 4. 5W 벽면형 스피커 52식
  • 5. 5W 컬럼형 스피커 266식
승객안내 (PI, Passenger Information)
  • 차량기지
  • 1. PI 서버 1식
  • 2. PI 워크스테이션 1식
  • 3. 단면형 PI 디스플레이 1식
  • 역사
  • 1. PI 컨트롤러 15식
  • 2. 양면형 PI 디스플레이 30식
테트라 무선 (Tetra)
  • 차량기지
  • 1. 무선지령시스템 4식
  • 2. 중계기 1식
  • 3. 휴대용 무전기 50식
  • 4. 차량용 무전기 38식
전력공급방식

열차 운행에 필요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한국전력공사에서 22.9KVAC 수전) 연락급전방식으로 설계되어 1개 지역 고장 시 다른 지역의 연락급전을 통해 정상적인 차량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AFC System (역무자동화 시스템)

역 전산기 및 T-MONEY용 역 집계시스템은 각 역사의 EER (Electronic Equipment Room)에 설치 운용되며, 요금 게이트, 승차권 발권기, 승차권 발매기의 감시와 통제, 트랜잭션에 대한 데이터를 이더넷 TCP/IP 연결을 통해 중앙 처리 전산기로 전송한다.

MMIS (유지보수 관리정보 시스템)

용인경량전철 운영관리 회사의 운영 및 관리는 최첨단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일상적인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의 조합이 유지보수 관리 정보 시스템 즉 MMIS를 구성한다.

  • 관리 목록

작업 지시 관리 / 예방 정비 관리 / 정비 계획 및 일정 / 장비 재고 및 이력 관리 / 자재 관리 체계(재고 조절 및 구매 용량) / 인력 관리

PA System (방송설비 시스템)

본 시스템은 용인경전철에 설치되는 역사(Station) 안내 방송 장치이다.
이 시스템은 행선지 안내 방송, 화재 경고방송, ICCS의 비상 안내 방송 및 역사(Station) 안내 방송에 해당하는 모든 운용을 제공한다.

Fire system (소방 시스템)

수신기와 중계기 사이에 전송선로를 포설하여 중계기에 연결된 각종 소방 설비의 감시와 제어를 행하며 다음과 같은 기기로 구성된다.

  • 1. 중계기 : 각종 소화ㆍ제연설비 등의 동작 상태를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며 수신기의 제어 명령을 받아 말단기기를 제어한다.
  • 2. 수신기 : 중계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 처리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발하며 화재발생구역의 위치를 표시하고 설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BAS System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용인경전철 전 구간의 공기조화설비, 환기설비, 냉방설비, 위생설비, 방재설비, 승강설비 등을 총괄적으로 집중 관리하여 에너지 절약 및 시스템 운영요원의 최소화를 기하고 효과적인 운영관리가 될 수 있도록 각 정거장에는 DDC 및 중앙제어 조작 반을 설치/운영하며, 관제실에 중앙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여 중앙통제, 통합감시 및 일괄 제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