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Load
고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용인 에버라인
Yongin Everline
승강장 및 대합실 보행거리 20m마다 배치되어 있습니다.
승강장 및 대합실에서 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하기 위해 출입구를 표시하는천정에 녹색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벽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화재 시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기가 작동합니다.
시각장애인 이동 시 안전과 편의를 위한 음성유도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객실마다 3개씩 설치되어 화재시 관제실로 자동 통보되며 다음역에 자동으로 정차됩니다.
열차내 비상 상황시 관제실과 통화가 가능한 장치이며, 통화가 안될 경우 다음역에 자동으로 정차됩니다.
객실 화재발생을 대비하여 3번 출입문 옆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재발생 등 비상시 반드시 관제실의 안내를 받아 출입문을 열고 긴급대피 할 수 있습니다.
신변의 위협 등 위급상황 발생시 관제실로 경보가 통보되며 다음역에 자동으로 정차됩니다.
승강장, 에스컬레이터, 계단, 대합실 등 안전감시를 위해 주요 요소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경전철 역사 승강장의 선로부와 승강장부 전체를 평상시 고정벽(스크린)과 가동문으로 차단하고, 열차가 승강장에 완전 정차하면 열차 문과 함께 열려 열차로 인한 소음과 먼지 등을 줄이고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합니다.
객실 화재발생을 대비하여 3번 출입문 옆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재발생 등 비상시 반드시 관제실의 안내를 받아 출입문을 열고 긴급대피 할 수 있습니다.
전 역사를 제연막을 설치하여 화재시 유해가스 확산을 감소 시켜 줍니다.
대합실에서 비상전화가 2대 설치되어 있어 관제실과 통화할 수 있습니다.
열차운행의 주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버튼과 통화장치가 승강장 양쪽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모든 화장실에 비상호출장치가 있어 긴급 시 역직원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소화설비 | |
---|---|
분말 소화기 | 122(역당 7~13) |
기타 소화기 | 81(역당 4~9) |
옥내 소화전 | 93 (역당 5~9) |
스프링클러헤드 | 179(기흥역) |
준비작동식 소방펌프 스프링쿨러 | 1(기흥역) |
경보설비 | ||
---|---|---|
수신기(P형/R형) | 31(역당 1~2) | |
자동화재 탐지설비 | 감지기 | 276(역당 16~23) |
회로 | 144(역당 8~13) | |
차등식 | 49(역당 2~12) | |
연기식 | 227(역당 4~20) | |
발신기세트 | 소화전용 | 93(역당 5~9) |
단독용 | 3(전대역) | |
시각경보기 | 118(역당 6~15) |
피난시설 | ||
---|---|---|
유도등 | 피난구 | 296(역당 16~27) |
통로 | 7(기흥역, 김량장,고진) | |
비상조명등 | 515(역당 21~57) |